var url1 = 'to1203.tistory.com.tistory.com'; var url2 = 'jin212.com'; var online = document.URL; if(online.match(url1)) document.location.href = online.replace(url1, url2); 메타버스 뜻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메타버스 뜻

by 찬희는공부중 2021. 12. 28.
반응형

메타버스 뜻

현실세계를 넘어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한다. 용어 자체는 과거 소설에서부터 시작을 했으며, Meta + Universe의 합성어이다. 메타버스는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코로나19 팬더믹에 따른 언택트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가속화되어 주목받고 있다.

다시 말해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3차원 세계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단순히 가상세계에 가깝다고 정의하기보다는 화면을 통하여 가상현실을 보는 단순한 구조가 아닌 아바타 등을 통해 가상세계를 직접 체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현실세계에서 일어나는 가치 창출과 교류가 가능하다.

 

메타버스

 

우리 주변의 메타버스

실제로 메타버스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특히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선호 시국을 맞이하여 메타버스와 관련된 사업이 더욱 활기를 띄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대기업 네이버에서는 '제페토'라는 증강현실 아바타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벌써 전 세계의 2억 명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가상현실 내에서 나만의 아바타를 만들어 마치 나를 꾸미듯 아바타를 꾸미고 쇼핑을 하고 한류 스타의 공연을 보러 가고 지인들과 소통하며 새로운 세상을 살아간다.

글로벌 패션 브랜드인 구찌, 나이키를 비롯해 다양한 업계에서 제페토 내에서 매장을 꾸리고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한류 아이돌이 아바타 팬사인회를 진행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안에서 사무실을 만들어 출퇴근하거나 대선 주자들이 선거 유세 활동을 벌이기도 한다니 정말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상당히 흐릿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1년 새 회사 가치가 10배 이상 상승하며 급부상한 미국의 게임회사 '로블록스' 역시 메타버스를 활용하고 있다. 가상의 세계에서 아바타가 직접 아이템을 만들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활동이 가능한 가상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메타버스가 큰 인기를 얻는 요인으로는 새로운 세상 안에서 멀티 페르소나를 뽐내는 동시에 현실 세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메타버스는 단순히 가상공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과 가상을 접목시킬 수 있는 공간이며, 메타버스 내의 아바타들은 단순히 아이템을 사서 치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안에서 교류하고 생산하며 자신을 홍보하고 새로운 직업을 찾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들 역시 메타버스에 큰 관심을 보이며 관련 사업을 기획 및 전개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애플에서도 AR 관련 기기를 출시할 것이라고 예고하는 등 관련하여 다양한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메타버스 개념도

 

메타버스 전망

현재 통신을 비롯하여 유통, 금융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산업이 대부분 모바일을 주된 환경으로 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이동은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인 것이다. 가상세계와 모바일 환경의 가장 큰 차이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라는 시각적 제약이 사라지고 의사소통 방식도 '터치'에서 음성이나 동작으로 확장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은행 업무를 이용하려는 고객은 가상세계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가상 점포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들을 눈앞에서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금융사 입장에서는 이전보다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고객은 점포 방문 없이 전담 은행원 수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글로벌 금융회사는 금융서비스 사전 체험과 직원 교육, 업무 공간 등에 메타버스를 이미 활용하기 시작했다. BNP파리바는 리테일 고객들이 은행 업무를 사전에 이해할 수 있도록 가상 체험 서비스를 출시했고 JP모건 체이스는 가상현실(VR)을 통해 최신 설루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엔지니어 인턴쉽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다.

반응형

댓글